https://rainbow88.tistory.com
본문 바로가기
우리말 좋은말

[맞춤법] 유례 와 유래

by 무지개88 (Rainbow88) 2020. 10. 1.
반응형

우리말 좋은말

 

 

 

비슷한 말 다른 뜻

#유례와 #유래 구분하기

 

 

"아쉬운 결과였지만 미국과 북한이 역사상 유래(?)가 없는 만남이 있었습니다."

과거나 현재나 전 세계에서 기상이변은 물론, 이해할 수 없는 놀라운 일들이 매일 뉴스가 되어 보도됩니다. 이런 일들은 ‘유례’가 없던 것이지 ‘유래’가 없는 것은 아닌데, 신문기사에는 왜 이리도 ‘유래’ 없는 일들이 많은지 궁금합니다.

 

유래(由來)는

1. 사물이나 일이 생겨남, 또는 그 사물이나 일이 생겨난 바(까닭, 연유)를 뜻합니다.

한자 그대로 말미암을 ‘유’, 올 ‘래’를 써서 어떤 단어나 현상이 어디에서 비롯되었는가를 따질 때 쓰는 말입니다.

가령 “우파와 좌파라는 용어는 프랑스혁명 당시 국민의회에서 왕당파는 회의장 오른쪽에 앉고 공화파는 왼쪽에 앉았던 데서 유래한다”라고 할 경우 쓸 수 있습니다.

 

반면, 유례(類例)는

1. 같거나 비슷한 예(前例).라고 풀이됩니다.

무리 ‘류’, 법식 ‘례’를 써서 ‘그와 비슷한 사례’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통신비 원가 공개는 해외에서는 유례가 없는 일입니다”라고 쓸 때 바로 이 ‘유례’를 씁니다

 

맨 위의 문장이 ‘역사상 같거나 비슷한 예가 없다’의 뜻으로 쓰인 경우, ‘역사상 유래가 없는’이 아니라 ‘역사상 유례가 없는’으로 써야 맞습니다.

 

오늘도 도움이 되셨나요? 우리말 재미있죠? 다행입니다.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모든 출처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참고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