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길라잡이 맞춤법
열사와 의사의 차이점?
국가를 위해 목숨을 건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그렇기에 더 칭송받아 마땅한 것이죠.
예전에 늘 궁금했던 것 중에 하나가 유관순 열사(烈士)는 왜 열사(烈士)고, 안중근 의사(義士)는 왜 의사(義士)인가? 였습니다. 그 의미를 모르던 시절에는 의사면허증이 있는 분인줄 알았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열사(烈士)는 '나라를 위하여 절의를 굳게 지키며 충성을 다하여 싸운 사람'이라는 뜻이고,
의사(義士)는 '나라와 민족을 위하여 제 몸을 바쳐 일하려는 뜻을 가진 의로운 사람'이라고 풀이하고 있습니다.
다른 듯하면서도 왠지 비슷한 의미라고 생각되지 않나요?(저만 그런가요?)
이 차이를 구별을 위해서는 국가보훈처의 기준을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요. 그곳에서는 이렇게 구별하고 있습니다.
'열사(烈士)는 맨몸으로써 저항하여 자신의 지조를 나타낸 사람이며, 의사(義士)는 무력(武力)으로써 항거하여 의롭게 죽은 사람'이다.
이 '열사'와 '의사'의 기준에 대한 과거의 신문기사를 보면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에서 독립운동사 편찬을 앞두고 항일 선열들의 공적을 조사할 때, '직접 행동은 안 했어도 죽음으로 정신적인 저항의 위대성을 보인 분'들은 '열사(烈士)'라고 하고, 주로 '무력으로 행동으로 통해서 큰 공적을 세운 분'들을 '의사(義士)'라고 하기로 했답니다.
'열사'와 '의사'라는 용어에 이렇게 깊은 뜻이 있는 줄은 어린 시절에는 알지 못했습니다.
어렵다고 느끼실 수는 있지만, 올바른 용어를 쓰는 것은 생각보다 중요한 일입니다. ^^
오늘도 도움이 되셨나요? 우리말 재미있죠? 다행입니다.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모든 출처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참고했습니다.
'우리말 좋은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맞춤법] 하마트면 과 하마터면 (0) | 2020.10.13 |
---|---|
[맞춤법] 회복 과 해소 (1) | 2020.10.12 |
[맞춤법] 나무꾼 과 나무군 (0) | 2020.10.10 |
[맞춤법] 데 띄어쓰기 (0) | 2020.10.09 |
[맞춤법] 하나뿐 과 하나 뿐 (1) | 2020.10.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