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rainbow88.tistory.com
본문 바로가기

2

[맞춤법] 상(上) 과 하(下) 의 띄어쓰기 우리말 좋은말 맞춤법 '~중(中)'을 알았으니 이제는 '~상(上)', '~하(下)'도 제대로 알자. 위아래를 제대로 알아야... 지난 포스팅에서 '~중(中)'의 띄어쓰기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중(中)'을 쓰다보니 ‘~상(上)’이나 ‘하(下)’는 띄어쓰기를 어떻게 하는 거냐고 묻는 지인들이 있어 오늘은 ‘~상(上)’과 ‘하(下)’의 띄어쓰기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역사‘상’(上)이나 인식 ‘하(下)’라는 표현은 문서에서 굉장히 많이 쓰입니다. 특히, 공공기관의 문서에서 이러한 경향이 강한데, 놀랍게도 사용빈도가 높은 것에 비해 그 띄어쓰기는 제각각인 경우가 있습니다. ‘역사상(上) 유례가 없는 일이다’, ‘명확한 인식하(下)에 대처해야 한다’ ‘위 상(上)’과 ‘아래 하(下)’는 명사로 쓰였을 때와 .. 2020. 12. 5.
[맞춤법] 상 과 하 띄어쓰기 우리말 좋은말 맞춤법 ‘상(上)’과 ‘하(下)’의 띄어쓰기 ‘역사상 유례가 없는 일이다’, ‘명확한 인식하에 대처해야 한다’ 역사‘상’(上)이나 인식 ‘하(下)’라는 표현에서 보듯 ‘위 상(上)’과 ‘아래 하(下)’는 명사로 쓰였을 때와 접미사로 쓰였을 때 다른 의미를 나타냅니다. ‘상(上)’이 명사로 쓰일 때는 ① ‘상감(上監)’의 준말. ② 품질이나 등급 따위가 가장 빼어남. 예) 이 제품의 품질 등급은 상이다. ③ 물체의 위나 위쪽을 이르는 말. 예) 지구 상, 도로 상 의 뜻이지만, 접미사로 쓰일 때는 명사의 뒤에 붙어 ‘…에 관하여’·‘…에 따라서’·‘…의 관계로’의 뜻을 나타내는 말을 나타냅니다. ‘관습상’, ‘체면상’, ‘절차상’의 표현들이 바로 이와 같은 뜻을 나타내는 경우죠. 처음에 제시.. 2020. 7.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