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rainbow88.tistory.com
본문 바로가기
우리말 좋은말

[맞춤법] 입바른 과 입에 발린

by 무지개88 (Rainbow88) 2020. 7. 20.
반응형

우리말 좋은말 

 

 

입바른 입에 발린

 

지나가는 길에 한 아이와 아버지가 있었습니다

무슨 일인지 꼬마아이가 아버지에게 울면서 그러더군요.

아빠, 미워!”

그 말을 들으며 무슨 일 때문에 그럴까하고 궁금해지는 한편으로 아이가 순수하다고 말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구나 싶었습니다.

제 직장생활을 돌아보니 마음 속에서 있는 감정을 그대로 입 밖으로 내본 적이 언제적인지 모르겠습니다. 그런 적이 없는 것 같기도 하고...ㅠㅠ

괜찮지 않아도 괜찮은 척, 화가 나도 화가 나지 않은 척 속에 있는 감정을 외면하거나 속이면서 살아온 인생이라는 생각이 문득 들었습니다. 물론 지금도 많은 분들과 같이 그런 인생이 변하지는 않았습니다. ㅠㅠ

최근 뉴스에 연쇄살인을 저지른 일본의 간호사에 대한 기사가 생각납니다

그 일을 가지고 일본인 전체의 성향에 대한 섣부른 판단까지는 너무 멀리간 것이 아닌가 싶고, 감정을 숨기기로 유명한 특유의 문화가 개인의 범죄에도 영향을 준 것 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저는 어렸을 때 입바른 소리를 잘 하는 어른이 되고 싶었습니다

내 의견과 생각, 감정에 솔직한 사람이 되고 싶었죠. 그런데 지금에 와서 보니 입바른 사람이 되었다기보다 입에 발린 소리를 잘 하는 사람이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그 옛날의 소망을 떠올리면서 오늘은 입바른 입에 발린을 알아보려고 합니다.(사설이 길었네요. 공감이 되시면 공감 꾹 ~ ㅋ)

 

입바르다는 바른말을 하는 데 거침이 없다는 뜻입니다

입바른 소리는 거침없이 남의 잘못이나 시비를 따지는 바른말이라는 뜻이죠.

반면에 입발림 소리’, ‘입에 발린[붙은] 소리는 마음에도 없이 겉치레로 하는 말입니다

'입에 발린 소리' '입에 붙은 소리'로 표현한다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발리다' '붙다'의 의미와 통한다고 볼 수 있으나, ‘발리다의 유래는 추정하기 어렵습니다

각각의 의미가 결합했다기보다는 관용구 전체가 굳어진 표현입니다.

두 단어의 분명한 의미가 차이가 있죠.

마음에도 없는 말을 내뱉지 않는 진정성 있는 인생을 위해서 오늘은 입바른 소리를 해보고 싶은데,  입에 발린 소리만 하고 집에 돌아오지는 않을까 싶네요.

 

Ι 오늘의 핵심!

1. 입바른 소리는 거침없이 남의 잘못이나 시비를 따지는 바른말

2. 입에 발린[붙은] 소리는 마음에도 없이 겉치레로 하는 말

모든 출처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참고했습니다.

더하기 지식

입빠른 사람 : ‘ 빠르다가 합쳐진 입빠르다 남에게서 들은 말이나 자신의 생각을 참을성 없이 지껄이는 버릇이 있다는 의미. ‘입빠른 사람은 입이 가벼워 경솔하게 남의 약점을 잘 찔러 말하는 사람.

반응형

'우리말 좋은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맞춤법] 되 와 돼  (0) 2020.07.21
[맞춤법] 괄시 와 괄세  (0) 2020.07.21
[맞춤법] 캥기다 와 켕기다  (0) 2020.07.20
[맞춤법] 돌멩이 와 알맹이  (0) 2020.07.19
[맞춤법] 쇠다 와 세다  (1) 2020.07.1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