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rainbow88.tistory.com
본문 바로가기
우리말 좋은말

[맞춤법] 되 와 돼

by 무지개88 (Rainbow88) 2020. 7. 21.
반응형

우리말 좋은말

 

 

Ι "되"와 "돼" 올바른 사용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씀을 원칙으로 한다.

표준의 정의를 말씀드리면서 띄어쓰기의 원칙을 말씀 드렸죠. 기억이 나지 않는다면 제 블로그를 참고하세요.^^

단어는 자립적으로 쓸 수 있는 말인데, 자립적인지 알기 위해서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만 보면 된다. 이것이 띄어쓰기 핵심이었죠.

 

오늘은 어려운 문법보다는 우리가 생활 속에서 혼동되는 실제 사례들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누구나 한 번쯤은 고개를 갸우뚱했던  의 구분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되어 준말(줄인 말) 입니다. 

 

이 말은 를 쓰는 것이 맞는 지 의심스러울 때 되어라고 바꾸어 보면 쉽게 알 수 있다는 말입니다.

 

예를 들면..... 그러면 안 돼요?(안 되어요) / 그러면 안 되요?

 

어떤 문장이 맞는 문장일까요?

안 되어요가 어색하다고 안 되요를 선택하시면 안 돼요.

 

Ι 핵심정리

 의 구분은 되어로 바꿔보고 어색함을 찾는다.

 

되기는 돼야 하는데.” 라는 문장을 ()기는 되()야 하는데.”로 바꿔보면 어떻게 써야 할지 더 명확하게 구분이 되죠.

되어기는 말이 되지 않으니 맞지 않는 표현이라는 것을 알겠죠?

 

몇 가지 문장을 더 볼게요.

 

되게 추워 돼게 추워 중 어떤 문장이 맞을까요?

되는 사람은 된다 돼는 사람은 됀다는요?

 

정답을 아셨나요?

 되어로 바꾸면 된다.

"되게 추워"와 "되는 사람은 된다."가 자연스럽죠? 혹시나 "돼게 추워"와 "돼는 사람은 됀다."가 자연스럽다면 할 수 없죠.^^

아름다운 우리말 재미있죠? 모든 출처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참고했습니다.

반응형

'우리말 좋은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장부호] 소괄호  (0) 2020.07.22
[문장부호] 온점 과 고리점  (0) 2020.07.22
[맞춤법] 괄시 와 괄세  (0) 2020.07.21
[맞춤법] 입바른 과 입에 발린  (0) 2020.07.20
[맞춤법] 캥기다 와 켕기다  (0) 2020.07.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