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이야기59 [고사성어] 전전긍긍(戰戰兢兢) 하면 다 알아! 오늘의 고사성어 전전긍긍(戰戰兢兢) 최근에 두려워서 벌벌 떨며 조심하는 사람들이 참 많은 것 같습니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겁내고 있는 사람들이 말과 행동으로 표현하는데, 덕분에 심심치 않게 하루하루가 재미있네요. 정의는 살아 있을까요? 잘 못한 것이 없다면 당당하게 말과 행동을 하면 되지 않을까요? 예전에 전전긍긍이 좋은 의미였다면 당황스럽겠죠?^^ 오늘은 전전긍긍(戰戰兢兢)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자를 알아보겠습니다. 戰 (두려워할 전) 戰 (두려워할 전) 兢 (조심할 긍) 兢 (조심할 긍) 오늘은 두 글자만 알면 해결이 되는군요.^^ 전전긍긍의 뜻은 위기가 닥치지 않을까 매우 두려워하여 겁내는 모습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전전(戰戰)은 겁을 집어먹고 떠는 모양을 표현하고, 긍긍(兢兢)은 몸을 삼가고.. 2021. 1. 5. [고사성어] 네로남불...마이동풍(馬耳東風) 오늘의 고사성어 마이동풍(馬耳東風) 오늘도 시끌벅적하네요. 코로나 19 관련해서 주변 사람들 말 좀 들으면 상황이 좀 나아졌을지도 모르죠. 하지만 지금도 늦지 않았으니 모든 문제들이 잘 해결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은 뜻을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마이동풍(馬耳東風) 직역을 하면 말의 귀에 스쳐가는 동풍이라는 뜻인데, 남의 말을 귀담아듣지 않고 그대로 흘려버림을 일컫는 말이죠. 우리말 속담으로 ‘쇠귀에 경 읽기’에 해당하는 우이독경(牛耳讀經), 소 앞에서 거문고 타기라는 뜻의 대우탄금(對牛彈琴)이 비슷한 말입니다. 한자를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馬 (말 마) 耳 (귀 이) 東 (동녘 동) 風 (바람 풍) 익숙한 한자로 오늘은 가볍게 살펴보겠습니다. 마이동풍(馬耳東風)은 당나라 시인 이백의 시 "답왕십이한야독.. 2021. 1. 4. [고사성어] 대기만성(大器晩成), 기다리면 된다. 오늘의 고사성어 대기만성(大器晩成) 오늘도 역시 세상에 재미난 일이 참 많네요. 행정수도를 옮겨야 한다는 사람도 있고, 주한미군을 감축해야 한다는 사람도 있고, 프랑스풋볼에서 발롱로드를 코로나 19로 64년 만에 처음으로 선발을 하지 않는다고 하니, 세상의 흐름에 빨리 적응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오늘도 대기만성(大器晩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자와 뜻을 알아보겠습니다. 大 (큰 대) 器 (그릇 기) 晩 (늦을 만) 成 (이룰 성) 오늘도 익숙한 한자가 많아서 좋네요.^^ 대기만성을 해석할 때 크게 될 사람은 성공이 늦다는 말로 많이 사용하는데, 저는 크게 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는 뜻으로 많이 사용합니다. 결국, 희망을 갖기 위해 자신을 위로하기 위해 사용하죠.^^ 대기만성은 유.. 2021. 1. 3. [고사성어] 온고(溫故)하여 지신(知新) 한다. 오늘의 고사성어 온고지신(溫故知新) 溫故知新(온고지신) 옛 것을 익혀 새것을 알자. #고사성어를 시작하는 이유 맞춤법을 진행하며 한글에 대한 사용을 다시 알아보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학교 교육의 변화를 제가 기억하기에 한 때 외래어를 사용하지 말고 순수 우리말만 사용하자고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학교 졸업 후 사회생활에 한문을 몰라서 난처한 경우를 당한 일도 있었을지 모릅니다. 다행히 요즘은 한문교육을 다시 하기 시작했고, 한자 자격증도 있어서 취업을 위한 또 하나의 스펙(?)으로 어떤 분께는 부담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행히 요즘 스마트폰으로 모르는 한자를 쉽게 찾아볼 수 있어 번거롭지 않습니다. "고사성어를 통해 한문과 상식을 학습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이런 호기심을 바탕으로.. 2021. 1. 2. [고사성어] 모순(矛盾), 말과 행동이 맞지않다. 오늘의 고사성어 모순(矛盾) 말이나 행동의 앞뒤가 맞지 않는다. #모순 : 어떤 말이나 행동의 앞뒤가 맞지 않음을 뜻한다. 한자풀이는 矛 창 모 盾 방패 순 contradiction 미국식[ˌkɑːn-]영국식[ˌkɒntrəˈdɪkʃn]명사 : 모순 한비자(韓非子) 난일(難一) 편에서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難'은 논박을 뜻합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한비자는 중국 한나라의 공자로 순자(荀子)의 제자이고 법가 학파를 대표하는 인물입니다. 저도 다 기억은 못하고 일단 모순이란 사자성어와 법, 술, 세를 함께 구사하고 개인적 원한을 공적인 일에 개입시키지 말라고 한 정도로 알고 있습니다.(일반인으로 이 정도만 알고 있으면 될 것 같은데요..ㅎ) #모순을 이야기하다. 모순에 관련된 고전을 제가 조금 각색해보았.. 2021. 1. 1. 이전 1 ···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