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고사성어 줄탁동기(啐啄同機)
어떤 일이든 사람이 하기 마련입니다.
이왕이면 혼자보다 다수가 하면, 일이 더 잘 될 때도 있습니다. 다수의 사람이 모이면, 반드시 리더와 팀원이 존재하는데 팀원과 리더가 마음이 맞다면 같이 하는 모든 일이 즐거울 것 같네요.
오늘은 병아리가 알에서 나오기 위해서는 새끼와 어미닭이 안팎에서 서로 쪼아야 한다는 뜻인 줄탁동기(啐啄同機)를 알아보겠습니다.
한자를 알아보겠습니다.
啐 : 떠들 줄
啄 : 쫄 탁
同 : 같을 동
機 : 기회 기
이제 한자가 익숙하시죠?
줄탁동기(啐啄同機)는 원래 중국의 민간에서 쓰던 말입니다.
임제종(臨濟宗)의 공안집(公案集)이자 선종(禪宗)의 대표적인 불서(佛書)인 송(宋) 나라 때의 벽암록(碧巖錄)에 공안으로 등장하면서 불가(佛家)의 중요한 공안(화두)이 되었습니다.
벽암집은 총 10권으로 되어 있고, 중국과 한국, 일본에서 여러 차례 발간되었습니다. 선의 수행에 귀중한 지침서가 되는 불경입니다.
공안은 화두라고도 하는데, 깨우침을 위한 물음이고 수수께끼로, 책으로 말하면 제목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선을 수행하는 승려들은 하나의 공안만 가지고도 평생을 수련 하기도 합니다. 그만큼 몇 자 안 되는 공안일지라도 그 속에는 깨달음의 이치가 숨어 있어 그 뜻을 말로 표현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합니다.
반면 공안의 원래 뜻이 공공기관의 문서라는 점에서 보면, 일단 깨닫기만 하면 더하거나 뺄 것이 없이 그 뜻이 명백해지는 것이 공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깨달음을 말로 표현하기 위해 한자의 뜻에 얽매인다면 깨달음은 순식간에 사라지고 다시 관념에 빠진다고 합니다. 그래서 공안은 최소한의 언어만을 사용합니다.
줄탁동기(啐啄同機)는 이러한 깨우침과 관련된 공안입니다.
알 속에서 자란 병아리는 부리로 껍질 안쪽을 쪼아 알을 깨고 세상으로 나오려고 하는데, '줄(啐)'은 병아리가 알껍질을 깨기 위하여 쪼는 것을 말하고, 어미닭은 품고 있는 알 속의 병아리가 부리로 쪼는 소리를 듣고 밖에서 알을 쪼아 새끼가 알을 깨는 행위를 도와주는데, 이것을 '탁(啄)'이라고 합니다.
알껍질을 쪼아 깨려는 병아리는 깨달음을 위해 수행하는 수행자를, 어미닭은 수행자에게 방법을 알려주는 스승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병아리와 어미닭이 동시에 알을 쪼기는 하지만, 어미닭이 병아리를 세상 밖으로 나오게 하는 것은 아니죠. 어미닭은 병아리가 알을 깨고 나오는 데 작은 도움만 줄 뿐, 결국 알을 깨고 나오는 것은 병아리 자신입니다.
스승은 깨우침의 계기만 제시할 뿐이고, 나머지는 제자가 스스로 노력하여 깨달음에 이르러야 함을 의미합니다. 또 깨달음에도 때가 있어 깨달아야 할 때 깨닫지 못하면 소용이 없다는 뜻도 담겨 있습니다.
줄탁동시라고도 하는데, 줄탁으로 줄여 쓰기도 합니다.
본인이 속해 있는 팀에서 팀원이 '줄(啐)'이고 리더가 '탁(啄)'이 된다면 성과는 기대 이상이 될 것 같습니다.
출처는 두피디아, 다음 검색, 네이버 검색을 참고했습니다.
'옛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사] 5호 16국 과 남북조시대 (0) | 2021.02.27 |
---|---|
[고사성어] 이런 세상에서 살고 싶다. 무릉도원(武陵桃源) (0) | 2021.02.26 |
[고사성어] 학업도 포기하지 말자. 맹모단기(孟母斷機) (0) | 2021.02.24 |
[고사성어] 이런 일이 없어야 한다. 맥수지탄(麥秀之嘆) (0) | 2021.02.23 |
[고사성어] 다른 선택이 필요하다. 만사휴의(萬事休矣) (0) | 2021.0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