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rainbow88.tistory.com
본문 바로가기

옛날 이야기59

[중국사] 위(魏), 촉(蜀), 오(吳) 삼국과 서진시대 중국사 단숨에 알기 주변에서 많은 분들이 고사성어가 어렵다고 말씀하셔서 조금 더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다가 중국사 흐름을 이해한다면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하고 오늘도 속성으로 중국사는 계속됩니다. 중국사도 왕조별로 이해하면 쉬운데, 여기서는 고사성어를 알 수 있을 만큼만 알아보겠습니다. [중국사 왕조 정리] 1. 삼황오제시대 → 2. 하황조시대 → 3. 은왕조시대 → 4. 주왕조시대 → 5. 춘추시대 → 6. 전국시대 → 7. 진왕조시대 → 8. 전한시대 → 9. 신국시대 → 10. 후한시대 → 11. 삼국시대 → 12.서진시대 → 13. 동진 5호 16국 시대 → 14. 남북조시대 → 15. 수왕조시대 →16. 당왕조시대 → 17. 오대십국 → 18. 북송시대 → 19. 남송시대 → 20. 원제.. 2021. 2. 18.
[중국사] 복고의 신국(新國)과 문화 꽃 후한(後漢) 시대 중국사 단숨에 알기 주변에서 많은 분들이 고사성어가 어렵다고 말씀하셔서 조금 더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다가 중국사 흐름을 이해한다면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하고 오늘도 속성으로 중국사는 계속됩니다. 중국사도 왕조별로 이해하면 쉬운데, 여기서는 고사성어를 알 수 있을 만큼만 알아보겠습니다. [중국사 왕조 정리] 1. 삼황오제시대 → 2. 하황조시대 → 3. 은왕조시대 → 4. 주왕조시대 → 5. 춘추시대 → 6. 전국시대 → 7. 진왕조시대 → 8. 전한시대 → 9. 신국시대 → 10. 후한시대 → 11. 삼국시대 → 12.서진시대 → 13. 동진 5호 16국 시대 → 14. 남북조시대 → 15. 수왕조시대 →16. 당왕조시대 → 17. 오대십국 → 18. 북송시대 → 19. 남송시대 → 20. 원제.. 2021. 2. 17.
[고사성어] 이제, 운이 끝났네요. 건곤일척(乾坤一擲) 오늘의 고사성어 건곤일척(乾坤一擲) 우리나라에서 건들지 말아야 할 민감한 사항이 교육, 병역, 선거, 부동산, 세금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고 보니, 법에서 정한 국민의 의무가 전부 포함되네요.^^ 물론, 더 많은 분야가 있지만, 국민의 의무는 특혜가 없다는 것을 말씀드립니다. 공정성이 떨어지거나 불합리, 소외감을 느낄 때, 역사에서도 국민들 힘이 발동합니다. 몇 년 전, 국민들이 촛불 들고 광화문에 나간 이유가 무엇입니까? 특정인이 자신의 사리사욕을 채우기 위해 전 국민들을 대상으로 거짓과 오만을 펼쳐서 아닌가요?(지난 시간에 농단에 대해 말씀드렸죠.^^) 지금이야 말로 공정과 진실을 위해 자신을 돌아보고 책임 있는 행동이 요구됩니다. 아직도 국민을 바보나 어린아이처럼 생각하는 착각에 빠졌다면, 앞으로 .. 2021. 2. 16.
[고사성어] 국민이 지켜보고 있다. 농단(壟斷) 오늘의 고사성어 농단(壟斷) 한국사에서 보면 조선 광해군 때 간신 이이첨 등이 권력 농단(壟斷)이 극에 이르자, 윤선도가 그들을 비판하고 상소도 올려 세상을 발칵 뒤집었죠. 몇 년 전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사건을 전 국민이 실제로 목격했습니다. 국민들의 힘을 보여줬다고 생각합니다. 서양 명언과 유명한 사람들이 말했던 "역사는 반복된다."가 갑자기 생각이 납니다. 오늘은 높이 솟은 언덕. 가장 좋은 자리를 차지하여 이익이나 권력을 독점하는 것을 뜻하며, 대개의 경우 비난하는 뜻이 담겨 있는 농단(壟斷)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자를 알아보겠습니다. 壟 : 언덕 농 斷 : 끊을 단 오늘 한자는 조금 낯설군요.^^ 유래는 맹자(孟子) 공손추 편에 있습니다. 원문에는 용단(龍斷)으로 되어 있습니다. 원래 龍.. 2021. 2. 15.
[고사성어] 중립을 지킬 수밖에.... 난형난제(難兄難弟) 오늘의 고사성어 난형난제(難兄難弟) 요즘은 중립을 지킨다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자신과 생각이 다르면 무조건 반대편으로 공격하기 바쁘니까요. 민주주의는 상대방 의견을 존중하고 합의점을 찾아 다 같이 상생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생각하는데, "무조건 배척했다가 아니면 말고."식의 극단적인 생각이나 행동은 위험한 것 같습니다. 학생 시절 상담학을 배울 때 교수님께서 항상 강조하신 말씀이 생각이 납니다. "상대방과 대화할 때, 6초만 기다리세요!" 오늘은 형이 되기도 어렵고 동생이 되기도 어렵다는 뜻으로 사람이나 사물이 서로 비슷해서 그 우열을 가리기 힘들 때 하는 난형난제(難兄難弟)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자를 알아보겠습니다. 難 : 어려울 난 兄 : 맏 형 難 : 어려울 난 弟 : 아우 제 오늘은 같은 한자.. 2021. 2. 14.
[고사성어] 지나친 걱정은 건강에 해롭다. 기우(杞憂) 오늘의 고사성어 기우(杞憂) 현재 상황에 나라와 국민들 모두 근심이 많아 보입니다. 사람이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되는 하루입니다. 아무리 시끌벅적 거리는 세상이라도 혼자서 모든 것을 잊고 가만히 있는 것도 지금의 근심을 버리는 방법입니다. 나라와 국민들 모두 행복했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은 기나라 사람의 근심, 쓸데없는 걱정, 안 해도 될 근심을 비유한 말인 기우(杞憂)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인지우(杞人之憂)의 준말입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杞 : 구기자나무 기 憂 : 근심할 우 杞(기)는 구기자나무의 상형자를 잘 보시면 기억하기 쉽습니다. 유래는 열자(列子)의 천서편(天瑞篇)에 나오는 말입니다. 열자는 정나라 출신의 중국 고대 사상가입니다. 열자의 사상을 총 8편(천서,.. 2021. 2. 13.
[고사성어] 결과도 과정도 좋았으면... 금상첨화(錦上添花) 오늘의 고사성어 금상첨화(錦上添花) 어떤 일을 하던지 결과와 과정이 모두 좋다면 금상첨화(錦上添花)입니다. 사회에서 결과와 과정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면 결과를 중요하게 생각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제는 익숙해진 결과 중심의 문화, 문득 학생 시절 과정을 더 존중해 주셨던 선생님과 교수님이 생각이 납니다. 우리가 조금 더 노력한다면 문화를 바꿀 수 있지 않을까요?^^ 오늘은 비단 위에 꽃을 더한다는 말로, 좋은 일 위에 더 좋은 일을 더한다는 뜻인 금상첨화(錦上添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자를 알아보겠습니다. 錦 : 비단 금 上 : 위 상 添 : 더할 첨 花 : 꽃 화 가을꽃은 볼 수 있을지 걱정입니다.^^ 유래는 당송(唐宋) 8대 문장가의 한 사람인 왕안석(王安石)의 칠언율시(七言律詩)에 나오는.. 2021. 2. 12.
[중국사] 진 시황제와 전한 무제 중국사 단숨에 알기 주변에서 많은 분들이 고사성어가 어렵다고 말씀하셔서 조금 더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다가 중국사 흐름을 이해한다면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하고 오늘도 속성으로 중국사는 계속됩니다. 중국사도 왕조별로 이해하면 쉬운데, 여기서는 고사성어를 알 수 있을 만큼만 알아보겠습니다. [중국사 왕조 정리] 1. 삼황오제시대 → 2. 하황조시대 → 3. 은왕조시대 → 4. 주왕조시대 → 5. 춘추시대 → 6. 전국시대 → 7. 진왕조시대 → 8. 전한시대 → 9. 신국시대 → 10. 후한시대 → 11. 삼국시대 → 12.서진시대 → 13. 동진 5호 16국 시대 → 14. 남북조시대 → 15. 수왕조시대 →16. 당왕조시대 → 17. 오대십국 → 18. 북송시대 → 19. 남송시대 → 20. 원제.. 2021. 2. 11.
[중국사] 춘추전국시대는 춘추와 전국이다. 중국사 단숨에 알기 주변에서 많은 분들이 고사성어가 어렵다고 말씀하셔서 조금 더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다가 중국사 흐름을 이해한다면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하고 오늘도 속성으로 중국사는 계속됩니다. 중국사도 왕조별로 이해하면 쉬운데, 여기서는 고사성어를 알 수 있을 만큼만 알아보겠습니다. [중국사 왕조 정리] 1. 삼황오제시대 → 2. 하황조시대 → 3. 은왕조시대 → 4. 주왕조시대 → 5. 춘추시대 → 6. 전국시대 → 7. 진왕조시대 → 8. 전한시대 → 9. 신국시대 → 10. 후한시대 → 11. 삼국시대 → 12.서진시대 → 13. 동진 5호 16국 시대 → 14. 남북조시대 → 15. 수왕조시대 →16. 당왕조시대 → 17. 오대십국 → 18. 북송시대 → 19. 남송시대 → 20. 원제.. 2021. 2. 10.